코딩/기초

시맨틱 태그란? : 이것은 원고지다

아하형 2025. 4. 24. 16:26

Semantic Tag

1. Semantic

 사전적 뜻으로 '의미의, 의미론적의'라는 뜻이다.

컴퓨터의 세계에서 "코드에 의미를 부여한다."는 개념이라 보면 될 것 같다.

 

 

2. Semantic Tag

 상황에 맞는 적절한 태그의 사용이 필요하다.

태그는 모양뿐만 아니라 이 요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도 함께 담고 있다.

HTML 요소 중 브라우저나 개발자, 검색 엔진이 내용을 의미적으로 이해·해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태그이다.

 

예시

시멘틱 태그 의미
<header> 페이지의 섹션의 머리말
<nav> 네비게이션 링크 영역(메뉴, 목차 등)
<main> 페이지의 주된 컨텐츠
<section> 페이지의 구획(논리적으로 문단화한 내용의 묶음)
<article> 독립적인 콘텐츠 영역(게시글, 뉴스 등)
<footer> 바닥글, 저작권, 링크 등 하단 정보

 

3. 시맨틱 태그를 쓰는 이유

 1) 가독성

 개인 프로젝트나 협업을 하는 경우 코드의 구조를 파악하기 쉬워진다.

코드를 전부 비시맨틱 하게 <div> 태그로 묶는 경우 내가 코드를 쓰고도 찾기 힘들어진다.

<!-- 비시맨틱 -->
<div id="header">블라블라</div>
<div id="main">블라블라</div>
<div id="footer">블라블라</div>

<!-- 시맨틱 -->
<header>블라블라</header>
<main>블라블라</main>
<footer>블라블라</footer>

 

 2) 검색 엔진 최적화(SEO)

 검색엔진이 내가 작성한 페이지(글, 콘텐츠)의 구조와 중요도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다.

위의 예시처럼 <div>로 작성된 비시맨틱 코드 구조는 컴퓨터가 봤을 때 그냥 레이아웃이 나눠진 글에 불과하지만 시맨틱으로 작성한 코드는 머리글, 메인 콘텐츠, 바닥글이 명확하게 나눠져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.

 

 블로그를 예시로 들면 <main> 태그 안의 내용을 그 페이지의 주 내용으로 인식하므로 <div> 태그로 작성된 글 대비 검색 노출도를 올려줄 수 있음.

 

 3) 접근성 향상

 스크린 리더(시각 장애인용 기기)나 보조 기술이 문서의 의미를 올바르게 읽을 수 있다.

위의 1, 2번 항목과 같은 내용이지만 기기가 <nav> 같은 태그를 만났을 때 '여기는 메뉴다'라고 인식할 수 있다.

<div>만 있으면 여기가 어딘지 모름ㅋ

 

<div>는 모양만 잡는 박스,
<header>, <main>, <footer>는 의미까지 담은 박스.

 

 

3. 블로그 예시

<h1>, <h2>, <h3>,... <h> 태그에서 규칙

한 페이지에 <h1> 태그는 한 개만 적용해야 된다.

 

 글을 작성할때 상단에 보면 여러 메뉴가 있다.

본인은 제목 이후 글 최상단에 위치한 텍스트를 '제목1'로 지정하고,

하위 목록들은 '제목2'로 지정했다.

 

그리고 우측 상단에 있는 '기본모드'를 클릭해보면 HTML환경에서도 작성·수정·확인을 할 수 있는데 

 

 제목1로 작성한 'Semantic Tag'의 텍스트가 <h2> 태그로 작성되어 있다.

그럼 단 하나만 써야 하는 <h1> 태그는...?

그냥 글의 메인 제목인 '시멘틱 태그란? : 이것은 원고지다' 이 부분이 <h1> 태그로 지정된다고 한다.

 확인해 보니 블로그 이름<h1> 태그다!

역시 사실확인은 본인이 직접해야...

 

 

4. 결론

 글의 제목과 같이 개인적으로 시맨틱 태그는 '원고지 작성법' 같은 느낌이었다.

출판사에서 출판하기도 쉽고 익숙해진다면 읽는 사람도 한눈에 제목, 서론, 본론, 결론 등을 알 수 있게 하니까.

 

 마음대로 쓴다고 해서 읽고 쓰는데 문제는 없지만, 추후에 그걸로 뭔가를 하려고 하면 다시 손을 봐야 될 거다ㅋㅋ

 

- 쓸거면 이쁘게 쓰자.